분류 전체보기 3090

200711: 어떻게 음악을 읽을까, Tim Hansen

TED-ED에 있는 아래 링크 강연의 번역. https://youtu.be/ZN41d7Txcq0 Share Tim Hansen·TED-Ed 어떻게 음악을 읽을까 - 팀 한슨(Tim Hansen) 한국어 Translated by Sophia BAE Reviewed by Shawn Kim 00:10 우리가 영화나 연극을 볼 때, 우리는 배우들이 대본으로 그 대사를 배웠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대본은 배우들에게 무엇을 말하고, 또 언제 말해야 할지를 알려주죠. 음악 작품 또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아주 기초적인 것 부터 말하자면, 악보는 연주자가 무엇을 연주하고 언제 연주를 해야하는지를 알려줍니다. 미화해서 말하자면, 베토벤과 저스틴 비버사이에는 다른 음악 세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두 예술가는..

색소폰 연주 2020.07.12

200711: 연주와 음악수용

(1) 철학자이자 피아노연주자 겸 작곡자인 아도르노의 말: "연주는 그려져 있지 않은 음표들을 연주하는 일이다." (글의 원저는 못찾고, 김진영 저 "이별의 후가" 중에서 발견.) (2) "음악수용에 관한 이해", 오 윤 록 음악을 수용한다는 것은 창작과 더불어 작품을 재현하는 연주와 구분되는 음악적 행위이다. 음악작품의 완전한 존재는 그것이 청취됨으로써 가능해진다. 쉐링(Arnold Schering)은 음악작품은 첫번째 울리는 현상으로서, 두번째 악보로 고정된 객체로서, 세번째 내적 소유로서 존재한다고 한다.1) 그는 청취라는 단어대신 ‘내적 소유’라고 표현했다. 내적 소유는 청자가 음악을 받아들일 때 순수한 청각적 경험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기억속에 지니고 있을 때만이 가능하다. 이것은 수동..

색소폰 연주 2020.07.12

200707: 800D 떠남

지난 10년여간 내 오디오시스템의 중심이었던 B&W800d가 마침내 떠났다. 한두달 전에 이미 판매대금은 다 받았지만 가져 가시는 분의 음악실과 건물이 완성되지 않아 계약한 지 약 세달 정도나 되서야 스피커를 옮겨갔다. 시원섭섭하다. 커다란 덩치로 항상 거실을 압도하였지만 자연스럽고 균형잡힌 소리가 좋았는데. 노후생활을 위해 거제로 옮길 때부터 너무 버거웠다. 이제 오디오생활이 좀 더 소탈해지고 단순해졌다. 오래 들어왔었던 섭시스템이라서 크게 부족하지는 않다. 보다 음악을 즐기는 생활이 되기를 바래본다. 밖에는 오전에 머물던 해무가 사라지고 있다.

200705: 부모님 치아 상황

부모님의 요양을 책임맡고 있는 여동생이 오늘 부모님을 치과병원에 모시고 가서 확인한 상황 메쎄지. 1) 어제 낮에 아버지 아래 의치가 빠져서 오늘 치과에 다녀왔습니다. 가운데 8개를 양쪽 끝을 임플란트식으로 해서 박아넣고 그위에 어금니쪽 의치를 얹어 사용했던건데 오래되고 풍치가 심해 박혀있던 가운데 것이 빠져버렸습니다. 지금은 틀이를 새로 할수도 없답니다. 빠진 가운데 의치와 양쪽 의치를 붙쳐서 하나로 만들었으나 쉬 빠질꺼랍니다. 식사시나 외출시만 끼울것을 권했고 딱딱한 음식 피하고 부드러운 음식만 드시라 했습니다ㅠㅠ 2) 엄마도 한달 전쯤 아래 송곳니가 반은 삭아 없어져서 치과에 갔더니 별 방법이 없다고해서 그냥 왔어요ㅠㅠ

200629: 주문한 책과 배선택의 타당성

Metal Boats, A Practical Guide for Building or Buying Small Steel or Aluminum Boats. 아직 많이 읽지는 못했지만, 1장을 읽고 전체를 훑어 봤다. 저자는 36피트 철선을 제작하고, 오랫동안 그배를 타고 항해했다. 이중 제일 마음에 와닿는 "배 크기에 대한 결정에 대한 이유"였다: (1) 큰 것을 무조건 선택할 수없는 이유로 길이보다 무게로 "구입/제작 가격과 관리 비용"이 결정된다는 것, (2) "장기간 항해를 위한 최소한 크기"를 결정할 때 크류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주 자신 이외에 부인/여친이나 친구 한명과의 1~2.5 인 정도의 장기 체류자가 거주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과 가끔 단기간의 게스트(들)이 같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