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블로그에 글을 쓰고 방문자들에 댓글을 쓰고, 맞방문을 하고 하는 내 자신을 보면서 이게 도데체 얼마나 시간이 가고 어떤 결과가 있는 일인가를 생각하고 싶었다.
여기서는 논의의 단순성을 위해서 주어진 포탈 안에서의 "블로깅" (blogging: 블로그에 연관된 모든 행위) 으로 제한하자.
블로그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왜 블로그가 인기가 있나?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자기의 (내부의) 기록을 남기기 위해 시작한다.
나는 그랬다.
또 다른 사람들은 자기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블로그를 시작한다.
첫째 이유로 블로그를 시작한 사람들은 굳이 다른 사람과의 댓글 행위나 방문을 중요하게 생각치 않는 것 같다.
그러나, 블로그가 계속되면서 블로그 이전에 알았었던 사람이던 아니던 블로그를 통해 상호 대화가 지속 되는 사람들과의 의견 교환과 친분이 블로그의 필수적인 요소로 발전된다.
아니라면 완전 비공개 블로그와 다를 바 없겠다.
둘째 이유로 블로그를 시작한 사람들도 자기의 생각과 주장을 기반으로 해서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을 받으면서 보다 성숙한 형태로 발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보면 블로그에는 공개던 일부 (통하는) 사람들에게만 열린 부분적 공개 블로그이던 간에 일기와 다른 인터넷 상에서의 제삼자와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인 형태의 "개인적미디어" (personal media)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블로그를 쓰는 사람들의 부류를 보면 크게 전부 공개로 하는 사람들과 일부 공개로 두는 사람들로 나눌 수가 있겠다.
(여기서는 첫째 부류에 속하지만, 특히 연예인이나 연예인과 비슷한 자기 홍보를 위한 블로그는 고려치 않겠다.)
그런데 이 두 부류가 사용하는 "네크워킹" (networking)의 방법론에 대해 얘기하고 싶다.
보통 비공개, 일부공개 블로거들은 초기에 부지런한 상호방문과 댓글의 노력을 바친 후에는 비공개로 아는 사람들에게만 블로그를 개방함으로써 깊이있는 내용과 깊이있는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특히 많은 젊잖은 여성분들의 블로그가 이렇다.)
반면, 개방형 블로거들은 아무래도 더 많은 방문자들에 대한 댓글과 맞방문을 하게 됨으로 보다 비효율적인 블로그 운영을 하게되는 것 같다.
그런데.
깊이있는 상호작용성이 블로그란 매체의 장점이라면, 도데체 어떻게 이런 비슷한 관심과 비슷한 퀄리티를 가진 새로운 블로거를 탐색하고/개발하고 유지 관리해 나갈 수 있을까?
만약 주어진 블로그의 내용이 인터넷 상의 많은 사람들에게 어필하는 내용이라면 기존의 방문자를 통해 얼마든지 다른 새로운 방문자들이 연결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몇몇 논객들의 블로그나 그림이나 음악적 소양이 있는 블로거의 블로그 등이 이런 내용 자체의 깊이로 인한 많은 사람들의 방문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런 블로그들은 많은 다양한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공통으로 방문하는 네트워킹의 "헙" (hub)이 되고있다.
이런 헙에의 방문과 댓글이 다른 많은 블로거들을 만나고 평가하게 되는 기회가 된다.
이런 면에서 보면 이런 식의 블로깅은 컴퓨터의 "탐색전략" (search stratedgy)에서의 "빔탐색" (beam search)를 닮았다.
블로거들의 블로깅 전략 (이런 게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에 중요한 요소가 비슷한 의견과 관심을 공유하는 모르는 블로거들을 새롭게 찾아내는 네트워킹 창조에 있다고 보인다.
그런데 비개방형 방법에는 대부분 아는 사람을 건너서 하나씩 다시 연결되다보니 "전역적인 해" (global solution)를 찾는 데 걸리는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오래 걸려서 많은 실제적인 경우에 "지역적인 해" (local solution)에 머무를 확률이 커진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한 네트워킹이 효율적으로 일어나지 못하는 것 같다.
여기서 필요한 요소가 "무작위성" (randomness)이다.
개방형 블로거가 자신이 무작위적으로 다른 블로그들을 만나는 행위나 마찬가지로 다른 블로거들이 흔히 블로깅 초기에 무작위적으로 다른 블로그를 방문하게 된다.
개방형 블로그는 이런 무작위적 기회에 자기 블로그를 개방함으로써 새로운 블로거와의 계속적인 네트워킹 창출 작업을 통시적으로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비개방형 블로그는 의식적인 블로거 자신의 노력에 의한 무작위적인 방문이 없으면 전혀 새로운 블로거와의 만남이 거의 없게 되어 네트워킹이 기존의 네크워크에서 지역적인 발전의 양상을 띠게 된다.
따라서 전역적인 해에 도달하기가 아주 어려워지는 것이다.
'인생과 노년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도 어깨가 아프다... (0) | 2006.11.19 |
---|---|
어깨통증과 자가진단 (0) | 2006.10.19 |
세브란스병원 통증클리닉에 가다. (0) | 2006.10.10 |
블로그를 통해서 요즘 무지 게을러짐을 느낀다. (0) | 2006.04.17 |
한국에 돌아와서... (0) | 2006.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