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은 짬 유적지 중에서 가장 큰 곳으로 알려진 My Son에 가기로 했다.
호이안에서 약 50Km 서쪽에 있는데, 근처에 가면 표지판이 잘 만들어져 있어서 찾기가 쉬웠다.
My Son은 Champa왕국에서 가장 중요한 지적이고 종교적인 장소였으며, 왕들의 매장? 장소이기도 했다.
미선은 4세기에 Bhadravarman 왕 시절에 종교적인 중심지가 됐다.
13세기까지 유지된 이 왕국에서의 이곳 건축물들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랜 기간 유지된 유적이다.
가장 중심적인 건축물들은 <그룹-B>이다.
이중 가운데의 B-1 건물은 Bhadresvara를 숭배하는 곳이었다.
처음 4세기에 지어졌으면, 6세기에 망가져서 다시 7세기에 재건축되었다고 한다.
11세기에 만든 토대만이 남아있다.
주차한 후에는 이런 전기차를 타고 2km인가를 들어가서 유적지가 있다.
헉!
처음 산길을 올라서 바라본 유적은 이랬다.
돌아보니 이렇게 돌보지 않는 묘자리 같이 보였다.
그래도 휴게소를 지나서 보이는 넓은 유적지.
이곳에 대한 복구계획 설계도.
이곳이 학자들이 <그룹-G> 라고 부르는 곳이다.
약간 올라가니 이렇게 보인다.
그러나 가까이 가면 이렇게 망가졌다.
지나온 쪽을 돌아 보면서.
이곳들은 미군의 폭격으로 다 망가진 것을 복구 중이다.
<그룹-A>
이쪽으로 가니 정말 절망적이었다.
폭격에 너무 많이 망가져서 손대기가 힘들 정도.
나는 거의 슬퍼하지 않는데, 이날은 정말 슬펐다.
여기 가운데인 A-1은 비행기 폭격으로 망가지지 않으니, 헬리콥터 가 와서 근접공격으로 부셨다는 현지인들의 소문도 있다.
여기가 폭격으로 부서진 후에 Cham 문화에 대한 전문가인 Phillipe Stern씨가 미국 대통령인 Nixon에게 항의의 편지를 썼고, 이후에 닉슨 대통령이 이곳의 더 이상의 폭격과 파괴를 중지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요니가 이렇게 큰 것을 보니 탑 자체도 만만치 않았을 텐데....
돌아봐도 허전하다.
어떻게 이렇게 많이 망가질 수가 있는가?
자연은 이렇게 망가뜨리지를 않는데.
여기가 제일 큰 유적지.
<그룹-B>와 <그룹-C>가 연이어 있는 곳이다.
남은 중요한 조각품들을 일부 내부에 보관하고 있다.
물론 다행히도 많은 중요한 장식들이 다낭의 짬문화 박물관에 있기는 하다.
제대로 서있는 것이 힘든 듯.
정말 많이 망가졌다.
절망적이다.
저기 파란옷입은 사람과 옆에 두 사람이 복구작업을 하고 있다.
그래도 이렇게 남아 있으니 3차원적인 조각맞추기를 해야 한다.
이렇게 빈 것들이 많으면, 컴퓨터로는 도저히 풀 수가 없는 수수께끼가 되고 만다.
창의적인 마인드만이 이렇게 많이 비는 데서부터 뭔가 의미를 찾아 낼 수가 있으리라, 아니면 포기하던지...
이미 망가진 지 50여년?
남아 있는 것들도 다 타고 남은 자국들이...
그래도 벽돌이 이런 폭발을 견디어 내기도 하지만, 제대로 서있기가 힘들어 하는 것 같다.
여기는 근사한 링가만 멀둥히 남아 있다.
다행.
이렇게까지 망가졌으리라고는 차마 생각하지 못했다.
이들은 간신히 서있기도 힘들어 하는 듯 하다.
돌아서면서도 슬프고 힘든 날이었다.
더워서만이 아니었다.
어떻게 이렇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만들어 버렸을까?
베트콩들은 이곳에 숨어 있으면서 일부는 신전이기에 보호되라는 헛된 희망을 가졌다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얼마나 많은 문화재들이 일본으로 또 미국이나 불란서로까지 밀반출되었는가?
아마도 일본에 있는 그 많은 문화재가 다 제값을 치르고 반출되었다고 믿는 바보가 있을까?
이런 문화재의 파괴가 남의 일이 아닌 것같이 느껴지는 것은 우리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기에 보다 공감하는 슬픔의 깊이가 남다르지 않을까 싶었다.
이날의 타임라인:
'베트남 바이크투어 2016'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7. 20: Hue 황궁 (0) | 2016.07.21 |
---|---|
2016. 7. 20: Hai Van Pass/해운령?! (0) | 2016.07.21 |
2016. 7. 19: Hoi An 대표 건축물들 3/3 (0) | 2016.07.19 |
2016. 7. 19: Hoi An 대표 건축물들 2/3 (0) | 2016.07.19 |
2016. 7. 19: Hoi An 대표 건축물들 1/3 (0) | 2016.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