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폰 연주

음계와 조표

cool2848 2012. 12. 13. 22:04


오늘은 음계(Scale)과 조(Key)와 조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음계란 어떤 음을 근음(으뜸음-음계의 시작과 끝을 책임지는 아주 중요한 음)으로 하여 일정한 형식에 따라 음높이의 차례대로 늘어놓은 것'음계(Scale)'라 합니다.
장음계니 단음계니....음악시간에 안졸고 수업들으셨다면 한번쯤은 들어봤을법한 것들입니다.
(-_-;; 전. 졸았습니다만...ㅋ)

위에서도 말했지만 음계는 '일정한 형식'에 따르는데 일곱 개의 음을 가지고서 쌓아 올렸을 때, 3~4음과 7~8음 사이가 반음이고, 나머지가 온음이면 장음계, 2~3과 5~6음 사이가 반음이면 단음계가 되고, 그 밖의 형식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음계가 이루어 지는 식이죠..

장음계와 단음계에 대해서 설명은 뒤로 미루겠습니다. 어짜피 코드에 대한 이야기를 할때 장음계(Major),단음계(minor)에 대해서 언급할꺼거든요.^^;; 위의 밑줄친 것만 잘 기억하시면 됩니다. 아. 저게 장음계고 단음계구나~ 하구요..ㅎㅎ

어쨌든 저 음계들이 우리가 말하는 다장조, 마장조, 바장조 등 여러가지 '조(Key)'들로 나타납니다. 각각의 곡마다 작곡자 나름대로 어느 Key를 선택할 것인지 고민하고 그 곡에 가장 적절한 Key를 선택하게 됩니다. 각각의 Key는 조표를 붙임으로써 구분되어지며 각 Key마다 그 Key만의 근음과 음계를 가지게 되는거죠..

주위 몇몇 사람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치면서(-_-;; 절대 누구 가르칠 실력은 못됩니다만...Orz)
가장 많이 질문을 받는게.
이 Key에서는 뭐뭐를 올려야해요? 이 Key에는 샵이 몇개예요? 등등입니다.
아래 각 key별로 조표와 근음, 그리고 음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각각의 음사이의 관계(온음, 반음)를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임시표를 사용했습니다..^^;;
(장음계 기준입니다. ^^)


(하나하나 그리기 너무 일이 많아서..-_-;; '음악과 컴퓨터(http://musicncom.com)'의 운영자 최왕국님의 글에서 발췌했습니다..그리고 음계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한 강의를 원하시면 이 싸이트를 방문해 보길 권해드립니다. ;D)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Key마다 그 Key만의 근음과 음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그 Key를 표시하기 위해서 '조표'가 붙게 됩니다. 이 조표는 아무렇게나 막 붙이는 게 아니라 일정한 법칙에 의해서 붙여지게 되는데, 그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도→솔→레→라→미→시'의 순서

'시→미→라→레→솔→도→파'의 순서



즉, #의 경우 1개를 붙일때는 다장조(C Key) 기준 '파(오선지 위에서 첫째줄)' 자리에 #을 붙이고, 2개를 붙일때는 '파'와 '도(오선지 위에서 둘째칸)'자리, 3개를 붙일때는 '파''도''솔' 이런식으로...
♭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1개를 붙일때는 '시(오선지 위에서 셋째줄)'자리에 ♭을 붙이고, 2개일때는 '시'와 '미(오선지 위에서 첫째칸)'자리, 3개를 붙일때는 '시''미''라' 이런식으로 순서에 맞춰서 붙입니다.
아직도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은 아래 *참고*를 잘 보시고 이해하세요~ ^^

*참고*
#이 붙는 조표와 ♭이 붙는 조표 정리.
(역시. 이미지는 다른 곳에서 업어왔습니다. 이미지 주소는 http://jesuside.com.ne.kr/로 되어있는데 없는 주소군요.ㅋ 어짜피 제가 만들고자 하는 것과 똑같아서 시간 절약겸 업어온 이미지 그대로 올립니다.)

#이 붙는 조표 - 장조와 단조의 으뜸음을 표시함.



♭이 붙는 조표



저 위의 다장조, 마장조, 내림나단조 등등...조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그것은 장조의 경우 으뜸음은 '도'이고 단조의 경우 '라'인데. 각 Key에서 으뜸음의 위치를 찾아 그 음이름을 그대로 읽어주면 됩니다. 흠. 어렵다구요?
이럴 때를 대비해서 각 Key의 근음 찾는 법을 알아두시면 편리합니다. :D
위 참고에 각 근음에 대해서 나와 있습니다만.
조표가 붙지 않은 C Key의 경우는 C가 근음이 되고,
#이 붙은 곡에서의 근음은(장조 기준) 마지막 #으로부터 7도 밑의 음이 되고
♭이 붙은 곡에서는 마지막 ♭으로부터 4도 밑의 음이 근음이 됩니다.
(단조의 경우는, 장조의 으뜸음에서 3도 밑의 음입니다. ^^)

한번 세어보세요. 위 그림에서 '마장조(E Key)'를 예를 들어 볼까요?
'마장조(E Key)'의 가장 마지막 #의 위치는 '레'자리, 즉 오선지 위에서 둘째줄입니다. 거기서 차례로 7번 내려옵니다(칸,줄,칸,줄 이렇게 내려오는것쯤은 당연히 아시겠죠?) 어디죠? 네. 줄만 잘 세신다면 '미'자리. 즉 오선지 아래에서 첫번째줄임을 알수 있습니다. 이 '미'는 코드로는 'E'코드이고, 우리 음이름으로는 '마' 입니다. 이런식으로 근음을 찾습니다..^^

또 한가지 기억해야 할 것은, 조표가 붙은 위치에 해당하는 음은 조표의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붙은 위치에 있는 음은 원래 음보다 반음 올려서 연주해야 하며, ♭이 붙은 위치에 있는 음은 원래음보다 반음 내려서 연주해야 합니다

각 Key마다 조표가 몇 개가 붙는지, 그리고 근음이 무엇인지를 암기하는 것은 반주법을 위한 기본 음악이론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각 Key마다 어떤 조표가 몇 개가 붙는지, 그리고 그 음계의 음들 중에서 어떤 음에 #이나 ♭가 붙는지 분명히 기억해야 합니다. 이것은 뒤에 코드에 대해서 공부할때 분명 많은 도움이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