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석학 토마소 포조 美 MIT 교수가 본 인공지능 현주소
《 이세돌 9단과 구글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인 알파고가 벌이는 세기의 바둑 대결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세계의 이목이 한국에 쏠리고 있지만 이런 관심은 한국이 AI산업 선진국이기 때문이 아니다. 한국은 기존 산업이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되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화두인 AI 분야에서 조연에 그치고 있다. 동아일보는 이번 대국을 계기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토마소 포조 교수(사진)를 포함해 해외 석학들을 인터뷰하고 국내외 AI산업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
“삼성이나 LG 같은 한국 대기업들이 인공지능(AI) 분야에 적극 뛰어들었다는 이야기를 거의 듣지 못해 이상하다.”
AI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토마소 포조 교수(69)는 7일 동아일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한국 기업들이 AI 분야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다”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IBM 페이스북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들이 AI에 적극 뛰어들고 있지만 한국 기업의 움직임은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토마소 포조 교수는 16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공지능 국제 심포지엄’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기 위해 방한한다. 사진 출처 MIT홈페이지 포조 교수는 “한국의 전반적인 AI 수준은 미국 영국 독일 중국 캐나다 러시아 다음 수준으로 대략 80점 정도”라고 평가했다. 첨단 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한국을 추격하는 중국이 AI산업에 있어선 한국보다 더 높은 수준이라고 본 것이다.
16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개최하는 ‘인공지능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할 예정인 포조 교수는 사물을 인식하는 ‘인지 컴퓨팅’과 뇌 과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