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순교 성인 엥베르 주교와 조선의 복음화를 위해
피 흘린 순교자들을 위해 바친 구노의 아베 마리아를 아시나요?
.........................
어린 구노는 음악 신동이라 불렸습니다.
빠리 외방 선교회에서 운영하는 학교에 다녔는데
같은 학급에는 구노가 따라잡을 수 없을
소위 ’음악 천재’가 있었습니다.
두 사람은 친한 친구였고 선의의 경쟁자였습니다.
어느덧 세월이 흘러 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할 나이가 되었습니다.
당연히 그 친구가 음악을 하리라고 생각했던
구노는 신학교에 들어간 친구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렇게 두 사람은 헤어졌습니다.
바람결에 들려오는 소식에
그 친구 소식도 묻어 왔습니다.
사제가 된 그 친구가 빠리 외방 선교회에 들어갔다고...
구노는 그 친구를 만나보고 싶었는데
어느새 중국으로 발령받아 갔다는 소식만
접하게 되었습니다.
신앙심이 깊었던 구노는 그 친구를 위해
틈틈이 기도를 했습니다.
오랜 사목 후에 휴가라도 오면
옛 추억을 나누며 차를 함께 마실 수 있을
것이라고.어쩌면 자신이 그 친구가 있는
중국에 가서 동양 문물도 구경하며
그 친구가 사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했습니다.
가끔씩 학교 게시판에는 붉은 글씨로
".... 순교" 라는 메모가 붙어 있었습니다.
그것을 볼때마다 평화 속에서 주님을 믿는
순박한 사람들은 전율을 금치 못했습니다.
구노도 물론 순교자들을 생각하면 슬프고
가슴 아파했고 그 친구를 생각하면 불안한
마음이 없지 않았지만 그래도 선교의 자유가
주어진 중국이기에 내심 안도했습니다.
어느날 이었습니다. 게시판에 그 친구의
이름이 나왔습니다.빨간 글씨는 아니어서
안심을 했지만 내용을 읽어본 구노는 경악스러웠습니다.
그 친구가 "조선 대교구 주교"로 임명되어
죽음의 땅 "조선"으로 발령받았다는 소식이었습니다.
구노는 눈앞이 캄캄했습니다. 한번 들어가면
살아 나오기 힘들다는, 아니 거의 불가능하다는,
차라리 순교하기 위해서 조선으로 들어간다는 말까지 횡횡했던
바로 그 "죽음만이 기다리는" 조선으로 들어간답니다.
구노는 날마다 주님과 성모님께 그 친구가 제발 무사히 돌아와
단 한번만이라도 만날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를 드렸습니다.
어느 주일날이었습니다.
구노는 요란하게 울리는 종소리를 들었습니다.
마음이 불안해졌습니다.
삼종시간도 아닌데 이렇게 요란하게 종이 울린다는 것은
불길한 징조였습니다.
의례 그랬듯이 순교자가 또 나온 것이 아닐까....
불안한 마음에 달음질 쳐서 뛰어간 구노는 실신지경이 되었습니다.
게시판에는 이렇게 쓰여있었습니다.
"엥베르 주교 조선에서 순교"
눈물이 앞을 가려 서 있을 수 조차 없던
구노는 정신없이 뒷동산으로 뛰어갔습니다.
언제나 변함없이 자비로운 눈길로 우리를 내려다 보시는
성모상앞에서 구노는 목놓아 울며
성모송을 바칠 수 밖에 없었습니다.
Ave Maria는 성모송입니다.
그렇게 친구이자 조선의 주교이자 순교자이며
후일 영광스러운 성인의 관을 쓰신 성 엥베르 주교를 기리며
만들어진 노래가 "구노의 아베마리아"입니다.
그 지구 반대편,
인종도 모르고 언어도 통하지 않는
소위 "미개인"들의 나라에 와서
불쌍한 백성들을 위해 하느님의 씨앗을 뿌리고
순교한 엥베르 성인은 지금 명동 대성전 지하에 잠들어 계십니다.
최양업 신부님의 아버지이시며,
전교 회장을 역임하시다 역시 순교하시고
성인반열에 오르신 "성 최경환 프란치스코"와 나란히...
구노(Charles Francois Gounod) 는 19세기 프랑스의 대작곡가입니다.
아버지는 유명한 화가이며 어머니는 피아노를 잘치는
예술적 환경에서 자라난 그는
한때 사제가 되려한 열심한 신자였습니다.
1841년에는 미사곡을 로마에서 초연하였으며,
레퀴엠 등의 종교곡을 작곡하였고
1851년 "사포"를 작곡, 1859년 "파우스트"로 대성공하고,
1867년 "로미오와 줄리엣"을 작곡하는 등 사회적 명성을 얻었으나,
1855년 성녀 세실리아 장엄미사를 작곡하고는
세속적 명성을 버리고 종교 음악에 전념하게 됩니다.
빠리외방전교회 성가대장이었을 때,
당시 조선에서 전교하던 빠리외방전교회의 사제였던 친구의 순교 소식에,
영감을 받고 즉흥적으로 성가를 작곡하였는데
이 곡이 바로 구노의 아베 마리아인 것입니다
이 성가는 조선교회와 순교자를 위한 성가입니다.
우리나라를 위한 구노의 단 하나의 성가입니다.
<인터넷에서 퍼옴>
이 노래의 반주 부분은 Bach의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의 전주곡 C장조」를 사용했으며 여기에 멜로디를 붙인 것이다. 경건한 신앙과 사랑이 담겨 있으며 성모 마리아를 찬미하는 노래 중에서 슈베르트의 아베마리아와 함께 가장 많이 찬송되는 아름다운 노래이다.
아베 마리아(Ave Maria)는 로마 카톨릭 교회의 주기도문(파테르 노스테르), 영창(글로리아 파트리), 사도신경(크레도)과 더불어 가장 많이 인용되는 <천사축사>라 불리는 기도문이다. 예수의 어머니인 성모 마리아를 찬양하는 곡이라 할 수 있는 이 곡은, 시인들의 자유로운 시에 많은 작곡가들이 곡을 붙였다. 빅토리아, 케루비니, 브람스, 구노, 베르디 등의 작품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슈베르트의 <아베 마리아>가 가장 대중적이며 많이 연주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곡들은 전통적인 카톨릭 의식용으로는 알맞지 않다.
마리아 (Maria) :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 가톨릭·동방교회 등에서는 성모(聖母) 또는 성모 마리아라고 존칭한다. 신약성서에 의하면 갈릴리 지방 나자렛 마을에 살았고, 목수 요셉과 혼약하였으나 천사의 계시로 처녀잉태하였다. 출산이 임박하여 헤로데왕의 호적 일제조사 명령이 내려 베들레헴으로 갔으나 숙소를 잡을 수 없어 교외의 동굴 안에 있는 마구간에 들었다가 거기서 예수를 낳았다. 그런데 헤로데가 베들레헴에 장차 왕이 될 아기가 태어났다고 찾아온 동방의 박사들의 이야기를 그대로 믿고, 이 영아를 죽이려고 하였기 때문에 화난을 피해 일단 이집트로 피신했다가, 후에 나자렛으로 돌아와 그리스도가 공(公)생활을 시작하는 30세 무렵까지 그 곳에서 조용한 생활을 보냈다. 그리스도가 하느님 나라의 복음을 전하다가, 마지막에 십자가에 처형되자 그 십자가 곁에서 끝까지 그리스도와 함께 고통을 나누었다. 현재 가톨릭의 교의(敎義)에 의하면 마리아는 죽은 후 부활하여 하늘로 올라갔는데, 이것을 ‘성모승천(聖母昇天)’이라고 한다.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信心)은 초대교회 때부터 성(盛)하여 구세주의 어머니로서 숭배되었고, 은총의 중개자로서도 존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마리아를 기리는 축일도 많은데, 주의 봉헌축일(2월 2일), 성모의 원죄 없으신 잉태(12월 8일)가 그 주된 것이다. 예로부터 마리아는 회화 ·조각 ·음악 등의 소재가 되어, 화제(畵題)로서는 《성모 영보(聖母領報)》 《성모자(聖母子)》 《피에타》 등이 알려져 있으며, 걸작이라고 할만한 작품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음악에서는 아르카텔트나 구노의 가곡 《아베 마리아》가 유명하다. 아베 마리아는 그리스도교의 가장 대표적인 성모 찬가로, 고금의 작곡가의 손에 의해 수많은 작품이 만들어졌습니다. 가사는 라틴어로 되어 있고 루가 복음의 전반부와 15세기 중반 성 베르나르도의 시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아베 마리아는 가톨릭 교회의 주요 기도문 중 GLORIA(대영광송), CREDO(사도신경) 등과 더불어 가장 많이 인용되는 천사의 축복, 성모 영보 때의 마리아에 대한 찬미와 사촌 엘리사벳의 축하 노래가 어우러져 이루어진 기도문을 아름다운 선율로 옮겨 놓은 것이기도 합니다.
|
'감상문: 영화와 책, 음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12. 10: 한국의 건축가 13인이... (0) | 2014.12.11 |
---|---|
2014. 12. 초: Reader's Digest의 Complete DIY Manual, 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0) | 2014.12.06 |
2014. 6. 16: 색소폰 선생님의 아이스크림 카페 공연 (0) | 2014.06.17 |
2014. 2. 5: 공감하고싶어요@클럽에반스 (0) | 2014.02.06 |
2014. 1. 25 (토): 작은 Jazz 연주회 (0) | 201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