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앞으로 심각하게 해보고 싶은 일들 중에 하나로 전기바이크 제작이 있다.
우리나라의 심각한 공해환경을 벗어나는 제일 쉬운 현실적인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현재 타는 자동차를 오토바이로 바꾸는 일이라고 믿는다.
물론 대도시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잘 발달된 싼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되겠다.
그래도 차를 써야 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고, 대중교통이 불편한 경우도 있고, 자전거로도 불편한 경우도 있겠는데, 오토바이는 이런 여러가지의 상황에서 상당히 다양하게 적용될 수가 있으면 자원의 낭비와 공해의 원인이 자동차에 비해서 상당히 유리한 교통수단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도 이제 세계적인 대세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가까운 미래에 우리의 주 교통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도 여전히 여러 공해와 환경파괴(?)를 만드는 직간접 원인이 될 것이다.
그런 공해와 파괴를 줄이는 아마도 내가 아는 좋은 대안으로 전기자전거나 전기오토바이가 있다.
이중 전기자전거는 보다 환경친화적이고 라이더의 에너지소모적이겠고, 전기오토바이는 보다 편하고 화물을 나르거나 다른 사람을 태울 수도 있겠지만 상대적으로는 환경비친화적이겠다.
특히 우리나라는 산이나 언덕이 많은 산이 많은 나라이기 때문에 전기-자전거나 전기-오토바이가 순수 자전거보다는 훨씬 유용한 환경이다.
순수한 통근이나 통학을 위해서는 전기-자전거가 좋은 대안 교통수단이 될 것이고, 보다 다양한 비지네스나 운송수단으로 기본 교통수단을 활용하려면 전기-오토바이가 좋은 미래의 대안 교통수단이 될 것으로 믿어마지 않는다.
내가 거제에 가서 살면서 집에 있는 고장난 전기오토바이와 전기스쿠터보드를 가지고 가서, 분해하고 재조립하고, 재구성하면서 이 분야를 배울 계획이다.
내가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좋아하고, 전기전자분야에 지식이 있으니 꽤 잘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나아가 내가 어느 정도 결과를 만들면, 인근에 있는 오토바이회사와의 국책/협력과제를 통해서 보다나은 전기오토바이를 제작하는데 기여할 수 없으리란 법도 없겠다.^^
사실 거제집에 아래층 작업실은 이런 용도로 미리 생각했던 다용도 작업실 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제부터 아래같은 글들을 읽고 배워서, 베트남에서의 남은 나날들을 귀국 후 할일들을 위한 기반지식 학습과 자료수집을 위해 활용할 예정이다.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luxcokr/
우리집 이야기: 전기자전거 만들기 도전 (티스토리)
http://kijun21.tistory.com/trackback/49
전기자전거 제작기1 (티스토리)
http://pashiran.tistory.com/324
전기자전거 제작기2 (티스토리)
http://pashiran.tistory.com/325
'전기(모터)바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7. 2: 전기오토바이 제어기 from Instructable.com (0) | 2016.07.02 |
---|---|
2016. 6. 19: 2016 Zero DSR/FXS 리뷰 (0) | 2016.06.19 |
2016. 6. 19: Zero SR, 2014 /S( ZF-12.5), 2015 리뷰 비데오 (0) | 2016.06.19 |
2016. 6. 19: Yamaha PES1 전기바이크 (0) | 2016.06.19 |
2016. 6. 18: Honda의 전기스쿠터 EV-neo (0) | 2016.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