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폰 연주

2013.1.16(수): 화성학 #5

cool2848 2013. 1. 18. 00:22

{수업 강의 전에}

수강생이 두명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대부분이 색소폰을 부는 사람들이니 선생님이 나는 비롯한 일부 레슨을 받는 사람들에게는 첫째나 두째 시간에 이미 얘기해준 내용이지만 참조를 하라고 간략하게 얘기했다.

 

(1)   나중에 어떤 분야의 색소폰을 불려고 하던지, 일단 이삼년간 좋은 교본을 채택해서 교본에 있는 etude를 정확하게 연주함으로써 기초를 닦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

 

(2)   동시에 기본기를 연마해야 된다.

(2.1) 스케일 연습

이유: ㄱ. 조표 읽는 연습;

ㄴ. 운지, 크로스핑거링 등을 포함하는 테크닉 연마;

ㄷ. 특정 톤이 어떻게 들리고 만드는 지의 음감 체득; (음정이 올라가면서 속에서 내는 소리: 어<>아<>이<>음<>이<>히)

ㄹ. 박자 연습;

ㅁ. 텅잉 연습 (레가토);

ㅂ. 소리 간의 크기의 균형 만들기;

ㅅ. (롱 톤) 좋은 톤 만들기;

(2.2) 위의 (1)번의 교재를 통해서 독보 연주 연습 (초견)

(2.3) 음악감상/청취: 특히 재즈.

 

{강의 내용}

일부 학생들이 전 주에 배운 Mode 개념을 잘 모르겠다고 해서 간단히 다시 정리 및 Q&A.

 

chord와 scale을 연계해서 이해해야 좋음/됨.

 

HW#5

(1) pp.18~20 (윗줄은 triad 코드 가족, 아랫줄은 7코드 가족)

(2) 아무 곡이나 선택하여 major/minor를 구분하고, 코드를 분석해 올 것.

 

MBT <3장> 코드

triad chord(1,3,5)와 seven chord (1,3,5,7)

 

Diatonic triad chord

I, IV, V의 메이져 코드(장3,단3)

II, III, VI의 마이너 코드단3,장3)

VII의 diminished 코드(단3,단3)

 

Diatonic seven chord

I, IV의 메이져 코드(장3,단3,장3)

II, III, VI의 마이너 코드(단3,장3,단3)

V의 dominant-7 코드(장3,단3,단3)

VII의 half-diminished 코드(단3,단3,장3)

 

코드 스케일.

재즈의 즉흥 연주를 위해서 코드가 어떤 스케일에서 나온 것인 지를 알아야 한다.

 

'색소폰 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1.19(토): 개인레슨 #6  (0) 2013.01.19
2013.1.11(금): 개인레슨 #5  (0) 2013.01.18
[스크랩] 이일병님 My Way  (0) 2013.01.15
2013.1.7: 화성학 #4  (0) 2013.01.10
2013.1.4: 개인레슨 #4  (0) 2013.01.10